약 5년 전쯤에 쓴 ‘보리와 밀의 차이’를 요즘 쓴 관련 주제 글들의 링크와 함께 수정해 올립니다.
킹제임스 영어 성경에서 Barley(보리)가 들어간 구절을 찾게 되면 모두 35개(7 X 5, 혹은 3 + 5 = 8) 나옵니다. Wheat(밀)은 52번(26 X 2, 13 X 4, 혹은 5 +2 = 7) 나옵니다. 그동안 수많은 성경 구절들을 한 단어와 연결해 뽑아서 읽고 해석하고 분석한 경험으로 미뤄 숫자의 배열만으로도 Barley가 wheat보다 한 수 위라고 판단됐습니다. Barley는 하나님의 완전수 7과 3, 은혜(제사, 언약)의 수 5, 그리고 새로운 시작(새 생명, 부활, 거듭남) 등을 뜻하는 8의 조합이기 때문입니다(8에 대한 자세한 의미는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숫자만 봐도 성부, 성자, 성령, 그리고 은혜를 볼 수 있습니다.
성경엔 5가 의미하는 게 참 많습니다.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바친 5개의 헌물(창 15:9), 모세 5경, 그리고 레위기 헌물들은 5개입니다(번제, 범법, 죄, 화평, 소제). 성막에 쓰인 재료들에도 5가 돋보입니다. 5개의 커튼(출 26; 27:5), 5개의 bar, 5개의 기둥과 sockets, 그리고 번제단도 5 by 5, 성막의 높이도 5큐빗이었습니다. 또한 Holy anointing oil(관유)는 (출 30) 5개의 재료로 만들어졌습니다(pure myrrh 500 shekels, sweet cinnamon 250 shekels, sweet calamus 250 shekels, cassia 500 shekels and olive oil 1 hin). 관유에 들어가는 용량도 5로 나뉩니다. 여기에 시편도 5부분으로 나뉘고(1-41, 42-72, 73-89, 90-106, 107-150), 주님이 십자가상에서 입으셨던 상처도 5개(양손, 양발, 옆구리), 옷도 5개로 나뉩니다(요한 19:옷을(garments) 4조각으로 나누고 coat는 찢지 않았음).
통상적으로 5는 은혜를 뜻하지만 율법과 제사 및 죽음을 의미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숫자 5가 갖는 자세한 의미는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율법은 선한 것이지만 지킬 수 없기에 내가 죽거나 누군가 대신 죽어야 합니다. 신랑을 맞으러 나간 10 처녀 중 5 처녀는 은혜로 구원받지만 나머지 5 처녀는 구원받지 못합니다(10 처녀 비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5번째 갈비뼈를 맞아 죽었다는 내용이 성경에 몇 번 나오기 때문에 5를 ‘은혜’가 아닌 ‘죽음’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Barley가 Wheat보다 안 좋은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성경이 정의하는 Barley의 올바른 의미를 알려면 관련 구절 35개를 모두 읽고 풀어야 합니다. 이 구절들을 읽다 보면 Barley는 교회 Wheat은 이스라엘, Barley가 환란 전 휴거(부활)라면 wheat은 환란 성도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Barley” 관련 35개의 구절입니다.
Exodus 9:31 And the flax and the barley was smitten: for the barley was in the ear, and the flax was bolled.
보리가 맨 처음 나오는 구절입니다. 이집트에 심판이 임했을 때 먼저 나온 보리는 이삭이 난 상태였기에 상했지만, 밀은 아직 나온 상태가 아니라서 상하지 않았습니다(출 9:31-32). 이 의미는 심판의 대상이었던 이집트 사람들은 밀은 먹을 수 있었지만 보리는 먹지 못했다는 것이기에 오히려 보리가 한 수 위로 생각되는 구절이었습니다.
Leviticus 27:16 And if a man shall sanctify unto the Lord some part of a field of his possession, then thy estimation shall be according to the seed thereof: an homer of barley seed shall be valued at fifty shekels of silver.
어떤 사람이 주께 그의 밭 한 부분을 ‘sanctify:거룩히 구별’ 하려고 한다면 그 값을 그 seed(씨)에 따라 정하되 보리씨 한 오멜을 50 세겔의 은으로 매기라고 하십니다. 즉 보리씨로 거룩히 구별할 수 있는 것이 되며 50세겔은 은혜의 수 5와 충만의 수 10을 곱한 것으로 ‘완전한 은혜’ 및 ‘속량(자유)’ 즉 희년을 뜻합니다(숫자 10이 갖는 자세한 의미는 여길 누르시고 50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이에 대한 성경의 좋은 예는 에스더 여왕 때 이스라엘을 대적하던 하만이 50 큐빗 교수대에 달려 죽는 장면입니다. 적그리스도를 상징하는 하만은 모르드게를 거기에 매달고 이스라엘을 말살시키려고 했지만 하나님의 크신 구원으로 이스라엘은 오히려 원수를 갚고 하만과 10 아들은 죽습니다(에 5:14; 7:9).
Numbers 5:15 Then shall the man bring his wife unto the priest, and he shall bring her offering for her, the tenth part of an ephah of barley meal; he shall pour no oil upon it, nor put frankincense thereon; for it is an offering of jealousy, an offering of memorial, bringing iniquity to remembrance.
어떤 남자가 아내가 음행했다는 의심이 들 때 진실을 가리기 위한 헌물을 가져오는데, 이때 보릿 가루 한 에바의 십 분의 일을 가져오되 기름이나 유향은 더하지 않습니다. 질투의 헌물이기 때문이고 불법을 기억 속으로 불러오는 기념헌물이기 때문입니다.
Deuteronomy 8:8 A land of wheat, and barley, and vines, and fig trees, and pomegranates; a land of oil olive, and honey;
밀과 보리와 포도나무와 무화과나무와 석류와 올리브 기름과 꿀의 땅으로 인도하신 하나님
Judges 7:13 And when Gideon was come, behold, there was a man that told a dream unto his fellow, and said, Behold, I dreamed a dream, and, lo, a cake of barley bread tumbled into the host of Midian, and came unto a tent, and smote it that it fell, and overturned it, that the tent lay along.
기드온이 승리에 대한 확신이 없었을 때 사인으로 하나님이 듣게 해주신 적군들의 대화입니다. 군병 중 하나가 꿈을 꿨는데 보리빵 한 덩어리가 진영으로 굴러 들어와 쳐 무너트린 겁니다. 그들은 이것이 ‘기드온의 칼’이었다고 합니다. 기드온은 구원의 예수님을 예표 하는 인물이고 칼은 성령의 검이기에 생명의 빵이신 예수님을 의미하는 보리빵의 의미가 잘 전달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믿는 자들에게는 심판의 주가 구원의 주요 상급이지만 그렇지 않은 자들에겐 영원한 정죄요 죽음이기도 합니다.
Ruth 1:22 So Naomi returned, and Ruth the Moabitess, her daughter in law, with her, which returned out of the country of Moab: and they came to Bethlehem in the beginning of barley harvest.
나오미와 룻이 베들레헴으로 돌아온 때는 보리 추수를 시작하던 때였습니다.
Ruth 2:17 So she gleaned in the field until even, and beat out that she had gleaned: and it was about an ephah of barley.
룻이 종일 밭에서 거둔 게 보리 한 에바 정도였습니다.
Ruth 2:23 So she kept fast by the maidens of Boaz to glean unto the end of barley harvest and of wheat harvest; and dwelt with her mother in law.
룻은 보아스의 maidens(소녀, 처녀들) 옆에 붙어, 보리와 밀 추수가 끝날 때까지 이삭을 훑었고 그녀의 시어머니와 거했습니다.
Ruth 3:2 And now is not Boaz of our kindred, with whose maidens thou wast? Behold, he winnoweth barley to night in the threshing floor.
나오미가 룻에게 말합니다. 네가 함께 했었던 처녀들이 속한 보아스는 우리의 친족이 아니냐, 보라 그가 오늘 밤 타작마당에서 보리를 키질하느니라.
Ruth 3:15 Also he said, Bring the vail that thou hast upon thee, and hold it. And when she held it, he measured six measures of barley, and laid it on her: and she went into the city.
보아스가 룻에게 네가 덮어쓴 베일을 가져오라고 한 후 보리를 6번 부어주고 그녀는 도시(city)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잠깐 city에 대해 나누자면 성경에서 city는 놀랍게도 777번 나옵니다. 여태껏 수백 개의 단어를 찾아 그 수를 적어놓았었는데 city는 아직 제가 발견한 유일한 777번 나오는 단어이고 또 대충 훑어봐도 엄청난 영적 진리가 담겨있는 단어입니다(하나님의 완전수 7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하나님의 도시를 뜻하기도 하고 땅에 적그리스도들이 짓는 도시를 뜻하기도 합니다. 당연히 여기서는 보아스와 룻에 관한 내용이니 하늘의 도시, 우리의 본향을 뜻하는 예루살렘입니다(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Ruth 3:17 And she said, These six measures of barley gave he me; for he said to me, Go not empty unto thy mother in law.
룻이 말합니다. 그가 나에게 barley를 여섯 번 부어 주며 시어머니에게 빈손으로(empty:빈 채로) 가지말아라 하셨나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하는 보아스가 신부를 예표하는 룻에게 보리를 6번 부어 준 것은 6과 7의 조합으로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두드러지는 진리입니다(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숫자 6의 의미‘란 글에서 밑줄 친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Samuel 14:30 Therefore he said unto his servants, See, Joab’s field is near mine, and he hath barley there; go and set it on fire. And Absalom’s servants set the field on fire.
요압이 만나주지 않자 화가 난 압살롬은 종들에게 그의 밭이 내 가까이 있고 거기 보리가 있으니 불 지르라고 합니다. 따라서 그의 종들은 가서 불태우고 이 때문에 요압이 압살롬에게 찾아와 다윗과의 재회를 주선하게 됩니다.
2 Samuel 17:28 Brought beds, and basons, and earthen vessels, and wheat, and barley, and flour, and parched corn, and beans, and lentiles, and parched pulse,
다윗이 압살롬의 반역으로 그를 피해 마하나임에 이르렀을 때 3명의 사람이 다윗과 그 일행을 위해 위 구절에 나열된 물품을 가져옵니다. 그중 밀과 보리가 있습니다. 그 3명 중 한 명은 암몬 사람(왕족 추정), 한 명은 마길이란 유대인(밧세바의 brother로 추정), 한 명은 유대 제사장 가문의 길리앗 사람인 바르실래입니다. 이 바르실래의 자손이란 사람들은 나중에 바벨론에서 스룹바벨과 함께 유다로 돌아오지만 족보에 하자가(defect) 있어 성전에서 일은 하되 제사장으로 섬기거나 제사장들만 먹을 수 있는 거룩한 음식은 먹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들 때문에 우림과 둠밈 얘기가 나옵니다.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나와야 진위여부를 알 수 있을 테니 그때까지 놔두자 합니다(느 7:65).
2 Samuel 21:9 And he delivered them into the hands of the Gibeonites, and they hanged them in the hill before the Lord: and they fell all seven together, and were put to death in the days of harvest, in the first days, in the beginning of barley harvest.
여호수아와의 언약으로 이스라엘과 더불어 살게 된 기브온 사람들을(이들은 성전에서 물긷고 나무 베는 일을 합니다) 사울이 학살한 일로 하나님의 노여움이 임해 3년 연속 가뭄이 듭니다. 그러자 다윗은 하나님의 노여움을 풀기 위해 사울 혈통 7사람을 기브온 사람들에게 넘겨주어 복수하게 합니다(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영적 의미는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그들이 죽임당했을 때가 ‘추수하는 날들에, 첫날들에, 보리 수확이 시작되던 때’였습니다. 이 사건은 그리스도인들이 대적 마귀로부터 얻는 승리를 예표하며 주님이 사망 지옥 권세를 이기시고 부활하신 것(초실절)을 예표한다고 생각합니다(초실절에 대한 자세한 내용 및 영적 의미는 이전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Kings 4:28 Barley also and straw for the horses and dromedaries brought they unto the place where the officers were, every man according to his charge.
왕상 4장엔 솔로몬이 왕 중의 왕(king)이 되어 왕(prince)들을 임명한 이름들이 나열되고 이스라엘은 태평하게 거하는 구절들이 나옵니다. 그리고 그가 세운 officer들이 매달 각각 자기 차례에 솔로몬에게 가져왔던 것의 목록이 나오는데, 여기 보리가 나옵니다. 그리고 그다음 구절엔 하나님이 솔로몬에게 얼마나 많은 지혜를 주셨던 가가 나옵니다.
2 Kings 4:42 And there came a man from Baalshalisha, and brought the man of God bread of the firstfruits, twenty loaves of barley, and full ears of corn in the husk thereof. And he said, Give unto the people, that they may eat.
엘리사 때 어떤 남자가 그에게 첫열매의 빵을 가져오는데 그게 보리로 만든 빵 20덩이에 곡식입니다. 엘리사는 예수님을 예표합니다(엘리야와 엘리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엘리사가 빵 20덩이로 100명을 먹이고 남기는 기적을 행하는데 예수님은 보리 빵 5개로 5000명을 먹이는 기적을 행하십니다(요 6:13). 단 예수님은 5000명을 먹이시고도 남은 빵조각을 12 광주리에 채우시지만 엘리사는 얼마를 남겼는지는 나오지 않습니다(하나님의 통치를 뜻하는 12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2 Kings 7:1 Then Elisha said, Hear ye the word of the Lord; Thus saith the Lord, To morrow about this time shall a measure of fine flour be sold for a shekel, and two measures of barley for a shekel, in the gate of Samaria.
2 Kings 7:16 And the people went out, and spoiled the tents of the Syrians. So a measure of fine flour was sold for a shekel, and two measures of barley for a shekel, according to the word of the Lord.
2 Kings 7:18 And it came to pass as the man of God had spoken to the king, saying, Two measures of barley for a shekel, and a measure of fine flour for a shekel, shall be to morrow about this time in the gate of Samaria:
왕하 7장에 시리아 군대가 쳐들어와서 유다를 포위하고 모두 굶어 죽게 되었지만, 하나님이 밤새 시리안 군대들에게 전차와 말들과 큰 군대 소리를 듣게 하셔서 모두 도망칩니다. 그 바람에 엘리사가 예언한 것처럼 바로 그다음 날에 2 measures of barley를 한 세겔에 먹는 역사가 일어납니다(증언 및 증인을 의미하는 2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그 예언을 듣고 하나님이 하늘에 창문들을 낸들 그런 일이 일어나겠냐고 빈정댔던 왕의 하인은 엘리사의 예언대로 보기는 하되 먹지는 못하고 성문을 지키다 양식을 구하러 몰려 나오는 백성에게 밟혀 죽습니다.
1 Chronicles 11:13 He was with David at Pasdammim, and there the Philistines were gathered together to battle, where was a parcel of ground full of barley; and the people fled from before the Philistines.
역대상의 이 구절은 참 흥미롭습니다. 11장의 내용을 읽어보면 드디어 이스라엘이 다윗을 왕으로 세우게 되고 하나님이 그를 어떻게 강하게 했으며 또 강한 군사들을 붙여주셨는지가 나옵니다. 그리고 바로 이어 블레셋이 쳐들어왔을 때 전쟁하려고 나가는데, ‘보리가 찬 땅 한 조각’에 모였다고 돼 있습니다. 사람들은 블레셋 앞에서 도망쳤으나 다윗의 군대는 보리밭에 서서 블레셋을 쳤고 주께서 큰 구원으로 그들을 구원했다고 돼 있습니다.
2 Chronicles 2:10 And, behold, I will give to thy servants, the hewers that cut timber, twenty thousand measures of beaten wheat, and twenty thousand measures of barley, and twenty thousand baths of wine, and twenty thousand baths of oil.
2 Chronicles 2:15 Now therefore the wheat, and the barley, the oil, and the wine, which my lord hath spoken of, let him send unto his servants:
대하 2장 10절에서 솔로몬은 성전 지을 때 필요한 자재들을 시돈 사람 하람에게 공급받으면서 그 대가로 2만 measures of ‘beaten‘ wheat(찧은 밀), barley(보리), wine(와인), oil(기름)을 주겠다고 약속합니다. 따라서 일을 마친 하람이 15절에서 이제 약속한 대로 그것들을 보내 달라고 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밀은 beaten(찧은) 거였다는 겁니다. 따라서 밀은 환란 성도를 뜻하고 보리는 환란 전 먼저 부활(휴거)하는 교회(신부)를 뜻한다고 생각합니다(이 부분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이전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Chronicles 27:5 He fought also with the king of the Ammonites, and prevailed against them. And the children of Ammon gave him the same year an hundred talents of silver, and ten thousand measures of wheat, and ten thousand of barley. So much did the children of Ammon pay unto him, both the second year, and the third.
웃시아 왕을 이어 요담이 왕이 되는 과정이 대하 27장에 나오는데 그는 아버지와 같이 하나님 보시기에 옳은 일을 했다고 나옵니다. 그런 그가 암몬과 싸워 이긴 후 3년간 받게 된 공물은 은 100달란트, 10,000 measures of wheat, 그리고 barley입니다(부활 및 영적 완전함을 의미하는 3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Job 31:40 Let thistles grow instead of wheat, and cockle instead of barley. The words of Job are ended.
욥이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며, 만일 내게 은밀한 죄가 있다면 Wheat(밀) 대신 thistles(가시나무, 엉겅퀴)가 자라게 하고 barley(보리) 대신 cockle(독보리, 잡초)가 자라게 하라며 저주하는 장면입니다.
Isaiah 28:25 When he hath made plain the face thereof, doth he not cast abroad the fitches, and scatter the cummin, and cast in the principal wheat and the appointed barley and the rie in their place?
이사야 28장엔 재림하는 주님에 대한 묘사가 나오는데 특히 28장 16절이 그러합니다. 그 구절에 이어 믿음 안에서 안전할 사람들과 악인들이 받을 심판에 대해 나오면서 25절에 으뜸가는(principal) 밀과 정해진 (appointed) 보리가 나옵니다. ‘appointed’는 주로 하나님의 역사와 계획에 따른 정해진 시간표를 나타낼 때 쓰이는 단어입니다. 여호와의 7절기도 ‘appointed feast’이며(출 23:15; 시 81:3; 사 1:14), 하나님이 사라에게 이삭을 주실 때도 이맘 정한 때(the time appointed), 생명의 때에(the time of life) 주신다고 하셨습니다(창 18:14). Appoint란 단어는 성경에 167번(1+6+7 = 14), Appointed란 과거형은 126번(1+2+6 = 9번) 나옵니다. 특별히 ‘appointed’란 단어가 들어간 구절들을 읽어보면 창세기에서는 아들을(셋과 이삭) 얻거나 신부(리브가)를 얻을 때 쓰였고(창 4:25; 창 18:14; 창 24:14, 44) 신약에서는 주로 하나님 혹은 주님이 ‘명령하신 대로’란 의미로 쓰입니다.
Jeremiah 41:8 But ten men were found among them that said unto Ishmael, Slay us not: for we have treasures in the field, of wheat, and of barley, and of oil, and of honey. So he forbare, and slew them not among their brethren.
이스마엘이 반란을 일으켜 이스라엘의 왕이 되는 과정에서, 때마침 이스라엘을 방문한 유다 사람들도 죽입니다. 그때 10 사람이 우리 밭에 보물들이 있는데 곧 밀과 보리와 기름과 꿀이라고 하자 살려줍니다.
Ezekiel 4:9 Take thou also unto thee wheat, and barley, and beans, and lentiles, and millet, and fitches, and put them in one vessel, and make thee bread thereof,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days that thou shalt lie upon thy side, three hundred and ninety days shalt thou eat thereof.
에스겔에게 이스라엘의 죄를 담당하게 하시는데 390일간 왼쪽으로 누워 먹어야 할 빵에 들어가는 것들이 wheat, barley, beans, lentiles, millet, and fitches를 한 그릇에 섞어 먹으라고 하십니다. 유다의 죄를 오른쪽으로 누워 40일간 질 때도 마찬가지로 먹으라고 하십니다(숫자 40이 갖는 자세한 의미는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Ezekiel 4:12 And thou shalt eat it as barley cakes, and thou shalt bake it with dung that cometh out of man, in their sight.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사람들 보는 앞에서 똥으로 보리 빵이랑 다른 것들도 구워 먹을 것을 명령하시지만 에스겔의 사정으로 소똥으로 대치됩니다. 이 구절의 앞뒤를 읽어보면 그만큼 이스라엘이 더러워졌고 더러운 양식을 취하고 있다는 뜻으로 생각됩니다.
Ezekiel 13:19 And will ye pollute me among my people for handfuls of barley and for pieces of bread, to slay the souls that should not die, and to save the souls alive that should not live, by your lying to my people that hear your lies?
이 13장의 구절은 그 위에 있던 4장 구절과도 연결되는데 하나님께서 거짓 대언자들에게 너희가 보리 한 줌, 빵 한 조각 때문에 내 백성 가운데서 나를 더럽히려느냐고 하시는 부분입니다. 너희 거짓말로 내 백성이 거짓을 듣게 해서 죽으면 안 되는 혼은 죽이고, 살리면 안 되는 혼은 살린다고 말씀하십니다.
Ezekiel 45:13 This is the oblation that ye shall offer; the sixth part of an ephah of an homer of wheat, and ye shall give the sixth part of an ephah of an homer of barley:
45장은 이스라엘에게 약속하신 천년왕국의 때에 주께 드릴 헌물들로 한 호멜의 보리와 밀을 6분의 일 에바로 올리라고 하십니다.
Hosea 3:2 So I bought her to me for fifteen pieces of silver, and for an homer of barley, and an half homer of barley:
호세아는 간음하는 여자지만 그녀의 친구들이 사랑하는 여자를 사랑하되, 내가 다른 신들을 바라보고 포도주 병들을 사랑하는 이스라엘 자손들을 사랑함 같이 사랑하란 하나님의 명을 받고 15개의 은과 1.5호멜의 보리를 주고 여자를 사 옵니다. 룻기서에서도 그렇고 호세아에서도 그렇고 보리는 신부와 연관이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Joel 1:11 Be ye ashamed, O ye husbandmen; howl, O ye vinedressers, for the wheat and for the barley; because the harvest of the field is perished.
하나님께로부터 저주가 임했기에 포도원지기와 농부는 부끄러워하라고 하십니다. 밀과 보리, 곧 밭의 추수가 멸해졌기 때문입니다.
John 6:9 There is a lad here, which hath five barley loaves, and two small fishes: but what are they among so many?
John 6:13 Therefore they gathered them together, and filled twelve baskets with the fragments of the five barley loaves, which remained over and above unto them that had eaten.
예수님이 빵 5개로 5000명을 먹이는 역사는 4복음서에 모두 나오지만 요한복음은 그들이 먹었던 빵이 보리빵이었음을 드러냅니다.
Revelation 6:6 And I heard a voice in the midst of the four beasts say, A measure of wheat for a penny, and three measures of barley for a penny; and see thou hurt not the oil and the wine.
3째 봉인이 열리고 저울 든 자가 나타나는데 밀 1 measure와 보리 3 measure는 한 penny이고 기름과 와인은 다치지 말게 하라고 하십니다.
이상이 교회를 상징하는 보리 관련 구절입니다. 밀 관련 52개의 구절들을 읽다 보면 밀은 환란성도 및 이스라엘을 뜻하는구나 싶어지는데 이 구절들은 나중에 풀어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