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반 전쯤부터 그동안 성경을 공부하고 연구하며 깨닫게 된 것들을 무명으로 올리기 시작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은혜로 주신 것들이기에 혹시 이런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은혜가 되지 않을까 싶어 시작했던 일입니다. 초기엔 글에 대한 코멘트들이 들어오기도 했고 그 코멘트를 첨부해서 새 글을 올리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다 2018년 가을, 참된 회개가 무엇인지 깨닫게 된 것들을 ‘가룟 유다의 뉘우침과 참된 회개’란 글에 적었습니다. 그 때 그 글에 대해 들어왔던 코멘트를, ‘세 가지의 덧붙임’에 인용했었는데 다음은 그 코멘트 부분만 옮긴 것입니다.
- 성경이 말씀하시는 회개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메타노이아(μετανοέω [metanoeo])는 양심의 가책에 의한 후회, 심경의 변화로 뉘우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 ‘에피스트레포(epistrepo [ἐπιστρέφω])’는 심경의 변화만이 아닌 행동을 얘기합니다. 악한 길로 가다가 그것이 잘못되었음을 알고 그 가던 길에서 돌아서서 하나님께로 돌아 가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이 요구하는 구원받을 만한 회개는 [ἐπιστρέφω]에피스트레포입니다. 유다가 마 27:3절에서 한 회개는 헬라어 사본의 단어로는 μεταμεληθεὶς 메타노이아, 후회하다. 뉘우치다는 단어 입니다. 유다는 구원에 이르는 회개를 했다고 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2018년 가을만 해도 계속 새 글을 올리는 작업 중이었기에 코멘트로 들어오는 정보까지 일일이 확인하진 못했었습니다. 직접 원어를 확인해 볼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본인들도 말씀을 사랑하며 연구한다고 하면, 액면 그대로 받아드렸습니다. 그러던 최근 예전 올렸던 글들을 다시 살펴보다가 위 코멘트를 다시 읽게 되어 원어로 찾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전혀 사실이 아닌 내용임을 발견하였고 잘못된 내용뿐만 아니라 반대로 얘기하는 부분까지 있었습니다. 그래서 예전 글을 교정하는 대신, 새 글로 설명하는 게 낫겠다 싶어 이 글을 씁니다.
일단 위 코멘트에 따르면 메타노이아(metanoeo:메타노에오)는 참된 회개가 아닌 후회의 감정이라면 ‘에피스트레포(epistrepo [ἐπιστρέφω])’는 참된 회개를 나타낸다는 주장입니다. 그리고 마태복음 27장 3절에서 유다가 한 회개는 ‘메타노이아’이기에 구원에 이르는 회개로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우선 잘못된 표기를 지적하자면 헬라어 ‘μετανοέω metanoeo(메타노에오)’의 한국어 발음을 ‘메타노이아’로 잘못 발음하고 있습니다.
또한 헬라어 ‘ἐπιστρέφω epistrepho(에피스트레포)’의 영어 발음을 ‘h’가 빠진 ‘epistrepo’로 잘못 표기합니다. 여기까지는 타이포라고 넘길 수 있지만 이처럼 작은 실수부터 큰 실수까지 오류가 촘촘한 코멘트이기에 먼저 밝힙니다.
우선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회개엔 ‘메타노에오(metanoeó [μετανοέω])’와 ‘메타멜로마이(metamelomai [μεταμέλομαι])란 단어가 있습니다. 이중 하나님을 향한 회개에 해당하는 단어는 오히려 ‘메타노에오’이고 후회에 가까운 회개는 ‘메타멜로마이’입니다. 여기에 위 코멘트의 첫째 오류가 있습니다. 메타노에오가 하나님을 향한 참된 회개를 뜻하는데도 도리어 아니라고 썼기 때문입니다.
메타노에오(metanoeo)는 신약에 총 34번 쓰였고 침례 요한이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라고 외치는 구절들과 사도행전에서 회개하고 돌이키라는 구절들에 쓰였을 뿐 아니라 계시록에서 버가모 교회에 보내진 서신에도 쓰인 ‘회개’로 번역되는 단어입니다(메타노에오의 파생어들이 쓰인 구절들- 마 3:2, 4:17, 11:20, 11:21, 12:41; 막 1:15, 6:12; 눅 10:13, 11:32, 13:3, 13:5, 15:7, 15:10, 16:30, 17:3, 17:4; 행 2:38, 3:19, 8:22, 17:30, 26:20; 고후 12:21; 계 2:5(2번 쓰임), 2:16).
역시 ‘회개’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후회’를 의미하는 단어인 ‘메타멜로마이’는 총 6번 쓰였는데 유다가 마태복음 27장 3절에서 했다는 회개가 이 6번 밖에 나오지 않는 메타멜로마이에서 파생된 ‘메타멜리떼이스(metamelētheis [μεταμεληθεὶς]) 입니다(메타멜로마이의 파생어들이 쓰인 구절들- 마 21:29, 21:32, 27:3; 고후 7:8(2번 쓰임); 히 7:21). 바로 여기에 위 코멘트의 둘째 오류가 있습니다. 유다가 한 회개에 쓰인 원어는 메타노에오가 아닌 메타멜로마이였음에도 불구하고 메타노에오라고 주장했기 때문입니다.
마태복음 27장 3절을 원어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메타멜로마이’는 킹제임스를 제외한 다른 번역본에서는 ‘회개’가 아닌 ‘후회’로 번역합니다.
그렇다면 코멘트에서 참된 회개라고 주장하는 ‘에피스트레포’는 대체 어디서 나온 단어일까요? Epistrephó (ἐπιστρέφω)는 신약에 총 36번 나오는데 ‘돌아가다 혹은 돌이키다’란 뜻입니다. 코멘트는 이 단어가 악한 길로 가다가 잘못됐다는 걸 알고 가던 길에서 돌아서서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행동이라고 주장합니다. 여기에 위 코멘트의 셋째 오류가 있습니다. 에피스트레포는 ‘하나님께로 돌이키는 영적인 뉘우침이나 심적인 후회의 감정을 갖는 회개’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돌아가다 혹은 돌이키다’란 의미가 어떤 육체적 행동을 뜻할 수도 있지만, 전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마태복음 10장에서 예수님은 열두 제자들을 이스라엘의 집으로 보내며 천국이 가까이 왔음을 전파하게 하시는데 합당한 자를 찾아내면 거기 머물되 그 집에 들어가면서 평안을 빌라고 하십니다. 그 집이 이에 합당하면 그 평안이 임할 것이요 합당하지 않으면 그 평안이 너희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하시는데, 여기에 쓰인 ‘돌아갈 것’이 ‘에피스트레피토(epistraphētō [ἐπιστραφήτω])’ 즉, 에피스트레포의 파생어입니다.
그런가 하면 더러운 귀신이 사람에게서 나갔다가 머물 곳을 찾지 못하자 내가 다시 나왔던 집으로 돌아가리라고 하는 비유에서 ‘돌아가리라’고 귀신이 말한 단어이기도 하며(마 12:44), 자신의 몸에서 능력이 나간 것을 아신 예수님이 군중 속에서 몸을 돌이키셨을 때도(막 5:30) 쓰인 단어입니다(에피스트레포의 파생어들이 쓰인 구절들-마 10:13, 12:44, 13:15, 24:18; 막 4:12, 5:30, 8:33, 13:16; 눅 1:16, 1:17, 2:39, 8:55, 17:4, 17:31, 22:32; 요 21:20; 행 3:19, 9:35, 9:40, 11:21, 14:15, 15:19, 15:36, 16:18, 26:18).
이처럼 ‘에피스트레포’는 돌아가다 혹은 몸을 돌이키다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단어로 ‘회개’와는 분리된 단어입니다. 그런데 회개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 단어를 도리어 참된 회개라고 주장하는 위 코멘트는 이런 여러 가지 오류로 엮여 있습니다. 어떤 단어를 정의할 때 한두 구절을 갖고 할 게 아니라 성경 전체를 꼼꼼히 훑어봐야지 누구든 범할 수 있는 이런 오판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런 코멘트를 제게 보냈었던 분은 나중에 이단으로 밝혀졌고 신천지처럼 교회를 깨트리는데 주요 역할을 하며 이 교회 저 교회를 떠돌던 사람이었습니다. 그에게서 오래전 받았던 코멘트를 원어와 성경 구절로 일일이 확인해보던 중 한 가지도 맞게 말한 것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옳은 것을 그르다 하고 그른 것을 옳다 하는 하와를 속인 뱀처럼 미혹의 영에 종노릇했음이 여기서도 확인되자 착잡했습니다.
마귀는 창세기에서만 아담과 하와를 속여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분도 하나님이 은혜 주셔서 자신이 참된 회개라고 알고 있는 ‘에피스트레포’가 아닌 ‘메타노에오’ 하여 생명을 얻길 바랍니다. 이 사람은 또한 “참된 목사라면 강단에서 ‘로고스’가 아닌 ‘레마’를 선포해야 한다”며 마치 ‘레마’란 단어에 어떤 큰 영적인 의미가 있는 것처럼 교회를 교란했었는데 그 것에 대해선 ‘로고스와 레마, 살아 움직이는 하나님의 말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스트롱 헬라어 원어 사전에 나오는 3단어에 대한 정의도 이 글에 첨부합니다.
Strong’s Concordance
metanoeó: to change one’s mind or purposeOriginal Word: μετανοέω
Part of Speech: Verb
Transliteration: metanoeó
Phonetic Spelling: (met-an-o-eh’-o)
Definition: to change one’s mind or purpose
Usage: I repent, change my mind, change the inner man (particularly with reference to acceptance of the will of God), repent.
metamelomai: to regret, repentOriginal Word: μεταμέλομαι
Part of Speech: Verb
Transliteration: metamelomai
Phonetic Spelling: (met-am-el’-lom-ahee)
Definition: to regret, repent
Usage: (lit: I change one care or interest for another), I change my mind (generally for the better), repent, regret.
epistrephó: to turn, to returnOriginal Word: ἐπιστρέφω
Part of Speech: Verb
Transliteration: epistrephó
Phonetic Spelling: (ep-ee-stref’-o)
Definition: to turn, to return
Usage: (a) trans: I turn (back) to (towards), (b) intrans: I turn (back) (to [towards]); I come to my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