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 3장 원어/영어 분석 연구

히브리서 3장

1 그러므로 함께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형제들아 우리가 믿는 도리의 사도이시며 대제사장이신 예수를 깊이 생각하라

위 구절에서 ‘함께’라고 번역된 헬라어 어원은 ‘metochos(메톡호스)’입니다. 이 단어는 영어로는 ‘sharer, partner, associate’인데, 이 ‘sharer’란 개념을 한 단어로 대치할 수 있는 한국말이 떠오르지 않습니다(좋은 단어가 떠오르는 분이 계시다면 코멘트 주시기 바랍니다). ‘sharer’란 의미는 ‘나와 함께 무언가 혹은 어떤 것을 공유하는 사람, 지분이 있는 사람, 몫이 있는 사람, 나누는 사람, 동참하는 사람, 파트너’ 등등의 의미입니다.

그리고 ‘거룩한’으로 번역된 헬라어 어원은 ‘hagios(하기오스)’입니다. 거룩하다는 의미는 하나님을 위해 ‘따로 떼어놓다, 구별하다, 분리하다’는 의미입니다. 같은 그릇이라도 하나님께 올리는 제물을 담는 데 쓰기 위해 구별한 그릇이라면 ‘거룩한’ 그릇입니다. 같은 곡물이라도 하나님께 바치려고 따로 분리했다면 그 곡물은 ‘거룩’합니다.

‘믿는 도리’라고 의역된 헬라어 어원은 homologia(호모로기아)’입니다. ‘동의하다, 고백하다, 자백하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신앙고백에 쓰이는 단어로 여기서는 복수인 ‘homologias‘가 쓰였습니다.

‘깊이 생각하라’는 헬라어 어원은 ‘katanoeó(카타노에오)’입니다. ‘숙지하다, 고려하다, 분별하다’는 의미인데, ‘생각을 집중해서 고정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위 구절을 원어에 충실하게 번역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하늘의 부르심에 동참한 거룩한 형제들아 우리의 신앙 고백들의 대제사장이시며 사도이신 예수를 주의 깊게 생각하라

2 그는 자기를 세우신 이에게 신실하시기를 모세가 하나님의 온 집에서 한 것과 같이 하셨으니

여기서 ‘세우신’으로 번역된 헬라어 ‘poiēsanti(포아이산티)’는 ‘만들다, 창조하다’란 의미입니다. 따라서 몇몇 원로 성경학자들은 ‘주님의 인성을 하나님께서 창조하셨다’로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성경학자들은 이 단어를 ‘appointed(임명하다, 지정하다, 택하다)’로 번역합니다. 하지만 원어와 문법, 그리고 구절의 구성을 본다면 ‘그는 자길 만드신 이에게 신실하시기를’이 더 맞는 번역이긴 합니다. 아들 하나님에게 육신을 만들어 입히시고(성육신) 성령으로 잉태하사 독생자로 낳으셨다는 관점에서 ‘만드셨다’란 의미를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세가 하나님의 온 집에서 한 것과 같이 신실하셨다’란 구절은 민수기 12:7절을 인용한 것입니다. “내 종 모세와는 그렇지 아니하니 그는 내 온 집에 충성함이라(민 12:7).” 여기서 ‘충성’으로 번역된 단어가 도로 ‘신실( piston(피스톤))’입니다.

3 그는 모세보다 더욱 영광을 받을 만한 것이 마치 집 지은 자가 그 집보다 더욱 존귀함 같으니라

이 구절은 순수한 피조물로서의 모세가 창조주께 신실했던 것은 어쩌면 종이 주인에게 충성하는 것처럼 당연한 것이겠지만, 하나님의 본체이시면서도 성육신하셔서 하나님 아버지께 신실하셨던 것은 비교할 바 안되는 충성이자 영광이란 의미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떠오르는 관련 구절은 빌립보서 2장 6절에서 11절입니다.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 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를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에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빌 2:6-11)”

4 집마다 지은 이가 있으니 만물을 지으신 이는 하나님이시라

여기서 ‘만물’로 번역된 헬라어는 ‘panta(판타)’로 모든 것이란 의미입니다.

5 또한 모세는 장래에 말할 것을 증언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온 집에서 종으로서 신실하였고

‘장래에 말할 것을’이라고 번역된 헬라어 ‘tōn lalēthēsomenōn(톤 라리띠소메논)’은 직역하면 ‘앞으로 말해질 것들’입니다. 전체 구절을 직역하면 ‘그리고 모세는 앞으로 말해질 것들의 증언을 위해 그분의(하나님) 온 집에서 종으로 신실하였고‘입니다.

6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집을 맡은 아들로서 그와 같이 하셨으니 우리가 소망의 확신과 자랑을 끝까지 굳게 잡고 있으면 우리는 그의 집이라

위 구절 그대로도 괜찮습니다. 좀 더 원어에 맞춰 쓴다면 ‘또한(de) 그리스도는 그분의(하나님) 집을 맡은(관장하는) 아들로서 (신실하셨는데) 우리가 소망의 확신(parrésia)과 자랑(kauchéma)을 끝까지 굳게 붙들면 우리가 그의 집이라.’입니다

7 그러므로 성령이 이르신 바와 같이 오늘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8 광야에서 시험하던 날에 거역하던 것 같이 너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말라 9 거기서 너희 열조가 나를 시험하여 증험하고 사십 년 동안 나의 행사를 보았느니라 10 그러므로 내가 이 세대에게 노하여 이르기를 그들이 항상 마음이 미혹되어 내 길을 알지 못하는도다 하였고 11 내가 노하여 맹세한 바와 같이 그들은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였다 하였느니라

흥미롭게도 히브리서 3장 7절에서 11절은 시편 95편 7절에서 11절을 인용한 것입니다. 다음은 시편 95편 7절에서 11절입니다. “그는 우리의 하나님이시요 우리는 그가 기르시는 백성이며 그의 손이 돌보시는 양이기 때문이라 너희가 오늘 그의 음성을 듣거든 너희는 므리바에서와 같이 또 광야의 맛사에서 지냈던 날과 같이 너희 마음을 완악하게 하지 말지어다 그 때에 너희 조상들이 내가 행한 일을 보고서도 나를 시험하고 조사하였도다 내가 사십 년 동안 그 세대로 말미암아 근심하여 이르기를 그들은 마음이 미혹된 백성이라 내 길을 알지 못한다 하였도다 그러므로 내가 노하여 맹세하기를 그들은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였도다(시 95:7-11)”

8절과 9절에 ‘시험’이라고 번역된 헬라어 어원은 순차적으로 ‘peirasmos(피라스모스)’와 ‘peirazó(피라조)’입니다. 그리고 9절에 ‘증험’으로 번역된 단어는 ‘dokimé(도키메이)’인데, ‘연속적인 시험을 통해 증명되다’란 의미입니다.

10절에 ‘미혹되어’로 번역된 헬라어 어원은 ‘planaó(플라나오)’로 ‘방황하다, 방랑하다, 길을 이탈하다, 속다’란 뜻입니다.

12 형제들아 너희는 삼가 혹 너희 중에 누가 믿지 아니하는 악한 마음을 품고 살아 계신 하나님에게서 떨어질까 조심할 것이요

‘떨어질까’로 번역된 ‘aphistémi(아피스테이미)’는 ‘이끌려 가버리다, 떠나다, 물러서다, 후퇴하다’란 의미입니다.

13 오직 오늘이라 일컫는 동안에 매일 피차 권면하여 너희 중에 누구든지 죄의 유혹으로 완고하게 되지 않도록 하라

‘권면하여’로 번역된 ‘parakaleó(파라칼레오)’는 ‘격려하다, 기를 북돋아 주다’란 의미로 ‘권면’과는 좀 다릅니다. 그리고 ‘유혹으로’라고 번역된 ‘apaté(아파테이)’는 ‘속임, 속이다, 기만하다’란 의미입니다. 따라서 본 구절을 원어에 충실하게 번역하면, ‘오직 오늘이라 일컫는 동안에 서로 날마다 격려해서 너희 중에 아무도 죄의 속임에 완고하게 되지 않도록 하라‘입니다.

14 우리가 시작할 때에 확신한 것을 끝까지 견고히 잡고 있으면 그리스도와 함께 참여한 자가 되리라

모든 한국어 성경 버전에 ‘확신’으로 잘못 번역된 헬라어 ‘hypostaseōs(히포스타세오스)’는 ‘hupostasis(후포스타시스)’에서 파생된 단어로 신약에 딱 2번 나옵니다. 바로 이 구절과 히브리서 1장 3절(이는 하나님의 영광의 광채시요 그 본체의 형상이시라…)에 나오는데 뜻은 ‘보증, 실체, 본질’입니다.

또한 “그리스도와 함께 참여한 자”라고 되어 있는 부분은 영어로는 ‘partakers indeed of Christ’이고 헬라어로는 ‘  Metochoi gar tou Christou‘로 ‘참으로 그리스도의 동역자’란 뜻입니다. 그렇기에 이 구절을 원어에 맞춰 번역한다면 “우리가 ‘그 본체(본질, 실체)’를 시작부터 끝까지 확고히 붙든다면 참으로 그리스도의 동역자들이 되었느니라.“입니다.

15 성경에 일렀으되 오늘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격노하시게 하던 것 같이 너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말라 하였으니

원어로는 ‘성경’이란 단어는 없고 ‘이르시되’입니다. 물론 성경에 이르시되란 뜻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격노하시게’로 번역된 ‘parapikrasmos(파라피크라스모스)’란 헬라어 어원은 ‘도발하다, 화나게 하다, 반역하다, 반란을 일으키다’란 의미입니다. 그런데 ‘격노하시게’ 보다는 ‘반역하듯이, 반란을 일으키듯이(hos en to parapikrasmo: as in the rebellion)’로 번역하는 게 맞습니다.

따라서 원어에 충실한 번역은 ‘이르시되, 오늘 너희가 만일 그의 음성을 듣거든 반란을 일으키듯이(반역하듯이) 너희 마음을 완고(완악)하게 하지 말라‘입니다.

16 듣고 격노하시게 하던 자가 누구냐 모세를 따라 애굽에서 나온 모든 사람이 아니냐

이 구절에 ‘격노하시게’로 번역된 단어는 ‘parapikrainó(파라피크라이노)’인데, 위 구절의 ‘파라피크라스모스’와는 달리 ‘격노하게 하다, 도발하다’란 의미만 있는 단어입니다. 따라서 이 구절에서 ‘격노하시게’로 번역한 것은 맞는 번역입니다.

그런데 이 구절이 첨예하게 의견이 갈리는 구절인 것을 이번에 원어 중심으로 번역하면서 알게 됐습니다. 보시다시피 개역개정에는 “듣고 격노하시게 하던 자가 누구냐 모세를 따라 애굽에서 나온 모든 사람이 아니냐“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흠정역 번역에는 “이는 어떤 자들이 듣고 격노하게 하였기 때문이라. 그러나 모세로 말미암아 이집트에서 나온 자가 다 그리하지는 아니하였느니라.”로 되어 있습니다.

한 해석은 ‘다 격노하게 했다’이고 한 해석은 ‘다 그렇게 격노하게 하지는 않았다’인데, 이런 견해의 차이는 단어들의 배열과 구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번역하느냐에 따라 갈립니다. 주석가들도 개역개정처럼 해석하는 그룹과 흠정역처럼 해석하는 그룹이 반반으로 나뉩니다. 그냥 원어를 쓰인 그대로 읽는다면, 흠정역의 해석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개역개정처럼 번역하는 것도 충분히 이해는 됩니다. 원어에 좀 더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들었던 자들이 격노하시게 하였으나 모세의 인도로 에굽에서 나온 모든 자들이 그러한 것은 아니었느니라“입니다.

17 또 하나님이 사십 년 동안 누구에게 노하셨느냐 그들의 시체가 광야에 엎드러진 범죄한 자들에게가 아니냐

위 구절처럼 번역해도 괜찮습니다. 원어에 좀 더 맞게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또한(de) 그분께서(하나님) 사십 년 동안 누구에게 노하셨느냐? 죄를 지음으로 광야에서 시체로 넘어진 자들이 아니냐?

18 또 하나님이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냐 곧 순종하지 아니하던 자들에게가 아니냐

위 구절의 번역도 괜찮습니다. 원어에 좀 더 맞게 번역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또한 불순종한(apeitheó) 자들이 아니면 그분께서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분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냐?

19 이로 보건대 그들이 믿지 아니하므로 능히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

‘믿지 아니하므로’는 ‘apistia(아피스티아)’로 불신이란 뜻입니다.

Published by tnb4word

"진리의 말씀을 바르게 나누어 네 자신을 하나님께 인정받은 자로, 부끄러울 것이 없는 일꾼으로 나타내도록 연구하라(딤후 2:15)" 성경 관련 질문이나 코멘트는 gloryb2mylord@gmail.com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I am a diligent student of the Word. Please reach out to me with any bible related questions or comments via the email address abov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