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 11장 원어/영어 분석 연구 1(히 11:1-20)

1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

‘실상’으로 번역된 헬라어 ‘hupostasis(후포스타시스)’는 히브리서 3장 1절에 ‘본체’로 번역됐고 3장 14절에서는 ‘확신’으로 번역됐던 단어입니다(이 구절들의 바른 의미는 히브리서 1장 연구히브리서 3장 연구의 링크를 눌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단어의 뜻은 ‘보증, 실체, 본질’입니다.

‘증거’로 번역된 헬라어 ‘elegchos(엘렝코스)’는 ‘증거, 증명, 시험해보다’란 의미인데 특히 하나님이 주신 믿음으로 말미암은 확신을 일컫는 말입니다. ‘보이지 않는’에서 ‘보이지’로 번역된 헬라어 ‘blepomenōn(블레포메논)’은 ‘보다, 쳐다보다’란 의미의 헬라어 어원 ‘blepó(블레포)’에서 나왔는데 피동사입니다. 따라서 ‘보여지다(being seen)’로 번역해야 합니다.

따라서 빠진 단어를 넣고 문법에 맞춰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de)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체요 보여지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

2 선진들이 이로써 증거를 얻었느니라

‘선진들’로 번역된 헬라어 ‘presbuteros(프레즈부테로스)’는 ‘장로’를 의미합니다. 산하드린 공회나 교회의 장로들을 일컫는 단어로 ‘장로교’를 의미하는 ‘presbyterian(프레즈비테리안)’이 이 단어에서 파생됐습니다. 본절에 ‘증거’로 번역된 헬라어는 ‘증언하다, 증명하다’란 뜻의 ‘martureó(마르투레오)’에서 파생한 ‘emartyrēthēsan(이마르터리티산)’입니다. 영어로는 ‘obtained a good report(좋은 평가를 얻다), commended(칭찬을 받다), gained approval(승인/인정을 받다)로 번역됐습니다. 즉, 아브라함이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얻었던 것처럼 장로들도 믿음으로 승인(증명)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빠진 단어들을 넣고 원어와 문법에 맞게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 안에서(en tautē) 장로들이 승인(증명을)받았기 때문이라(gar).

3 믿음으로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어진 줄을 우리가 아나니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니라

‘모든 세계’로 번역된 헬라어는 ‘tous(투스) aiōnas(아히오나스)’인데, 영어로는 ‘the world, the universe’로 번역했습니다. 물론 세계나 우주로 번역해도 되겠지만 히브리서 1장 2절에서 설명했듯이 헬라어 어원 ‘aión(아히온)’은 시공간을 나타내며 복수형인 aiōnas(아히오나스)’는 ‘시간대(과거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연대, 순환들’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 복수형은 신약에 총 32번 등장하는데, 주로 ‘영원(ever, forever)’, ‘때(ages)’로 번역됐고 ‘세상’으로 번역된 것은 유일하게 히브리서 1장 2절과 본절 뿐입니다. 그래서 히브리서 번역을 처음 시작할 때 aiōnas(아히오나스)’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고민했었습니다. 그때는 생각나지 않았었는데 다시 한번 같은 단어를 놓고 고민해보니 어떤 시간의 시작과 끝, 그리고 그 안에서 대대로 이어지는 마디가 있는 시간의 순환을 의미하는 단어이기에 한국어로는 ‘세세대대(世世代代)’란 표현이 가장 가까울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한문/영어사전을 찾아보았더니 ‘세세대대’를 ‘age after age’로 정의해 놓았기에 이 의미가 aiōnas(아히오나스)’와 제일 근접하다고 판단이 됩니다. 따라서 약 5개월 전에 썼던 히브리서 1장 원어 분석의 1장 2절을 지금의 깨달음에 맞춰 그 부분만 교정합니다.

또한 그 당시에 히브리서 1장을 쓰면서 깨달았던 것을 여기에도 덧붙이자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이 공간과 시간은 말씀이신 그리스도를 통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하나님은 시공간을 초월해서 계신 분이지만 우리가 존재하게 된 이 시공간은 아들을 통해 만드신 겁니다. 이 부분이 깨달아지자 계시록에서 ‘더 이상 시간이 없게 될 것이다(there should be time no longer:)’고 하신 말씀이 떠올랐었습니다(계10:6). 언젠가는 계시록 마지막 장처럼, 특정 기간을 위해 형성된 지금의 시공간은 사라질 것이며 시간이 없는 영원 세계가 펼쳐질 것입니다.

‘지어진’으로 번역한 헬라어 ‘katērtisthai(카테이르티스따이)’는 ‘완성하기 위해(to complete), 준비하다(prepare)’란 뜻의 ‘katartizó(카타르티조)’란 어원에서 파생한 단어입니다. ‘우리가 아나니’로 번역된 헬라어는 ‘noeó(노에오)’인데 ‘인지하다, 인식하다, 감지하다, 깨닫다’를 뜻하는 통찰력을 의미합니다.

‘보이는 것’으로 번역된 헬라어 ‘blepomenon(블레포메논)’은 1절처럼 ‘보다, 쳐다보다’란 의미의 헬라어 어원 ‘blepó(블레포)’에서 나왔는데 피동사입니다. 따라서 ‘보여지는 것(being seen)’으로 번역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타난 것’으로 번역한 헬라어 ‘phainomenōn(파이노메논)’은 ‘드러내다, 나타나다’란 의미의 어원 ‘phainó(파이노)’에서 파생한 단어로 역시 피동사입니다.

‘된 것이 아니라’에서 ‘된 것’으로 번역된 헬라어는 ‘존재하게 되다, 출생하다, ~이 일어나다, ~이 되다’란 의미의 ‘ginomai(기노마이)’에서 파생한 ‘gegonenai(게고네나이)’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으로 우리는 이 세세대대가(이 시공간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준비된(완성된) 것임을 깨닫나니, 보이는 것들은 가시적인 것들로 존재하게 된 것이 아니니라

4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 예물에 대하여 증언하심이라 그가 죽었으나 그 믿음으로써 지금도 말하느니라

본절에서 ‘제사’로 번역된 헬라어는 ‘희생 제물’을 뜻하는 ‘Thysian(띠씨안)’이며 단수형입니다. 신약에 총 11번 나오는데 11에 대한 의미는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증거’로 번역된 헬라어는 ‘증언하다, 증명하다’란 뜻의 ‘martureó(마르투레오)’라는 어원에서 파생한 ‘emartyrēth(이마르티레이뜨)’입니다. 영어로는 ‘obtained a good report(좋은 평가를 얻다), commended(칭찬받다), gained approval(승인/인정받다)로 번역합니다.

‘그 믿음으로써’에서 ‘믿음’은 덧붙여진 단어이고 원어엔 ‘그것(autēs)을 통해(di’)’, 혹은 ‘그것으로써(그것으로 말미암아)’입니다. 그래서 ‘그가 죽었으나 아직도 말하고 있다’는 것이 정확히 믿음을 통해 그렇다는 건지 더 나은 희생 제물을 통해 그렇다는 건지, 그도 아니면 승인받은 것을 통해 그렇다는 건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하지만 문맥 상 ‘희생 제물/예물’을 통해 지금도 말하고 있다가 맞지 않을까 합니다. ‘지금도’로 번역한 ‘eti(에티)’는 ‘아직도, 계속해서, 지금도’란 의미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희생 제물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을 통해(di’) 의로운 자라는 승인을 받았으니 하나님께서 그의 예물들(dōrois)에 대하여 증언하시며 그가 죽었으나 그것을 통해(di’) 아직도(지금도) 말하느니라

5 믿음으로 에녹은 죽음을 보지 않고 옮겨졌으니 하나님이 그를 옮기심으로 다시 보이지 아니하였느니라 그는 옮겨지기 전에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자라 하는 증거를 받았느니라

‘다시 보이지 아니하였느니라’로 번역한 헬라어 ‘ouch(우흐) hēurisketo(히우리스케토)’는 ‘그를 찾지 못하다(he was not found)’ 입니다. 본절에 나오는 ‘증거’는 2절과 4절처럼 ‘증언하다, 증명하다’란 뜻의 ‘martureó(마르투레오)’라는 어원에서 파생한 ‘memartyrētai(메마르티리타이)’이며 영어로는 ‘obtained a good report(좋은 평가를 얻다), commended(칭찬받다), gained approval(승인/인정받다)로 번역됐습니다.

‘기쁘시게 하는 자’로 번역된 헬라어 ‘euarestēkenai(유아뤠스티케나이)’는 ‘매우 기쁘게 하다, 큰 즐거움이다’는 의미의 ‘euaresteó(유아뤠스테오)에서 파생한 단어인데 과거형이지 현재진행형이 아닙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으로 에녹은 죽음을 보지 아니하고 옮겨졌고 그를 찾지 못하였으니 하나님께서 그를 옮기셨기 때문이라(dioti). 옮겨지기 전에 그는 하나님을 매우 기쁘시게(흡족하게) 했다는 승인을 받았기 때문이니(gar)”

6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 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지니라

‘상 주시는 이심을’로 번역한 헬라어 ‘misthapodotēs(미스따포도티스) ginetai(기네타이)’는 ‘he becomes a rewarder’ 즉, ‘보상자가 되신다’입니다. 한국말로는 ‘보상자’라는 개념이 없는 것 같습니다. ‘보상하는 분이 되신다’라고 해도 되지만 그냥 ‘보상자’로 쓰려고 합니다.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de)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매우 기쁘시게(흡족하게) 하지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분이 계시다는(존재하신다는) 것과 그분을 찾는 자들에게는 보상자가(a rewarder) 되심을 믿어야 하느니라

7 믿음으로 노아는 아직 보이지 않는 일에 경고하심을 받아 경외함으로 방주를 준비하여 그 집을 구원하였으니 이로 말미암아 세상을 정죄하고 믿음을 따르는 의의 상속자가 되었느니라

본절도 1절과 마찬가지로 ‘보이지 않는’으로 번역된 부분이 피동사인 헬라어 ‘blepomenōn(블레포메논)’이기에, ‘보여지다(being seen)’로 번역해야 합니다. 그리고 ‘경고하심’으로 번역된 헬라어 ‘chrēmatistheis(케리마티스떼이스)’는 특별히 신적 경고를 뜻하는 단어로 신약에 총 9번 나오는 chrématizó(크레이마티드조)’라는 원어에서 파생했습니다. 주로 ‘하나님으로부터 경고나 주의를 받았다’로 번역되었고 영어로는 ‘warned(경고하다/받다)’ 혹은 ‘admonished(충고하다/받다, 주의를 주다/받다, 훈계하다/받다)’로 번역됐습니다.

‘경외함으로’라고 번역된 헬라어 ‘eulabeomai(율라베호마히)’는 ‘eulabés(율라바스)’에서 파생한 단어로 ‘하나님을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따른다’는 의미지만 일반적으로는 ‘조심하다, 신중하다’를 뜻하며 성경에는 ‘하나님을 경외한다, 경건하다’로 쓰입니다.

‘준비하여’로 번역한 헬라어 ‘kataskeuazó(카타스테우아조)’는 ‘준비하다(예비하다)’란 뜻인데 ‘짓다, 건축하다, 만들다, 준비하다(예비하다)’란 의미로 쓰이며 성경에 총 11번 나옵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으로 노아는 아직 보여지지 않는 일에 대한 경고를(주의를) 받아 경외함으로 방주를 준비하여(예비하여) 그 집을 구원하였으니 이로 말미암아 세상을 정죄하고 믿음에 의한(믿음에 따른) 의의 상속자가 되었느니라

8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았을 때에 순종하여 장래의 유업으로 받을 땅에 나아갈새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아갔으며

‘장래의’란 단어는 삽입한 단어입니다. 본절에 ‘유업’으로 번역된 헬라어 ‘kléronomia(클레이로노미이아)’는 ‘유산 혹은 상속’을 의미하는 ‘inheritance’이기에 ‘유업’으로 잘 번역한 것입니다. 유업이란 의미가 조상이나 누군가가 남겨준 것을 물려받는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같은 단어가 나오는 히브리서 1장 4절과 9장 15절에는 모두 ‘기업’으로 번역했더니 이번엔 그래도 ‘유업’으로 번역했습니다. 이런 일관성 없는 번역은 일반 성도들이 성경 공부하는 데 걸림돌이 됩니다. 그렇기에 영어를 볼 수 있는 분들은 그나마 제일 원어에 충실하게 번역한 킹제임스 영어 성경을 참고하길 바라고 혹시 원어도 볼 수 있다면 힘들고 시간이 들더라도 원어로 보는 게 제일 좋습니다.

‘땅’으로 번역된 헬라어는 ‘장소, 곳’을 뜻하는 ‘topon‘입니다. ‘갈 바를 알지 못하다’로 번역한 것은 약간 뉘앙스가 이상합니다. 마치 본인이 갈 바를 몰라 헤매는 느낌이지만 원어는 ‘(not) epistamenos(knowing) pou(where) erchetai(he is going)’으로 ‘그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지 못한 채’입니다.

따라서 빠진 단어를 넣고 원어와 문법에 충실히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자 순종하여 유업으로 받게 될 곳으로 나아갈새 자기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지 못한 채 나갔으며

9 믿음으로 그가 이방의 땅에 있는 것 같이 약속의 땅에 거류하여 동일한 약속을 유업으로 함께 받은 이삭 및 야곱과 더불어 장막에 거하였으니

‘이방의 땅’으로 번역된 헬라어 ‘allotrian(알로트리안)’은 ‘다른 이에게 속한’이란 뜻으로 ‘이방(foriegn:타국, 외국), 낯선(strange, stranger)’이란 의미로 주로 쓰입니다. 이 단어에 ‘땅’이나 ‘나라’의 개념이 확실히 포함된 건 아니지만 ‘안에’란 단어와 함께 쓰였기에 ‘땅이나 나라’라는 개념이 삽입된 것입니다. 그런데, 이방의 땅이라고 번역하면 원어의 뜻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왜냐면 아브라함이 이주한 곳은 어차피 이방인의 땅이었는데, ‘이방의 땅에 있는 것 같이 머물렀다’는 표현이 과연 맞나? 싶기 때문입니다. 이 구절의 의미는 약속의 땅이기에 자기 땅인 것처럼 살 수도 있었지만, 남에게 속한 것처럼, 외국인으로 거류했다는 의미입니다.

‘동일한 약속을 유업으로 함께 받은’으로 번역된 헬라어 문장은 ‘synklēronomōn(싱클레로노몬) tēs(티스) epangelias(에판겔리아스) tēs(티스) autēs(오티스)’로 ‘동일한 약속의 공동 상속자(joint-heirs of the same promise)’입니다.

‘장막’으로 번역된 ‘skéné(스케네)’는 문맥에 따라 성막 또는 장막으로 번역됩니다. 히브리어에는 모세의 성막(mishkan:미쉬칸)과 사람들이 집으로 사용하던 장막(ohel:오헬)을 일컫는 뚜렷한 단어가 있지만 헬라어에는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으로 그는 약속의 땅에서 타국(외국)에 있는 것처럼 거류했으며 동일한 약속의 공동 상속자인 이삭과 야곱과 함께 장막들에 거하였으니

10 이는 그가 하나님이 계획하시고 지으실 터가 있는 성을 바랐음이라

‘계획하시고’로 번역한 헬라어 ‘technités(테크니테이스)’는 ‘공예자, 장인, 설계자, 건축자’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지으실’로 번역한 헬라어 ‘démiourgos(데이메우르고스)’ 역시 ‘건축자, 제작자, 창조자’란 의미로 역시 ‘장인’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또한 ‘터’로 번역된 헬라어 ‘themelious(떼멜리우스)’는 신약에 16번 나오는 ‘기초에 속한, 기초석’을 의미하는 ‘themelios(떼멜리오스)’의 파생어입니다. 본절에 쓰인 형태는 복수형으로 신약에 딱 2번 나오는데 본절과 요한계시록 21장 14절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그 도성의 성곽에는 열두 기초석이 있고 그 위에는 어린 양의 열두 사도의 열두 이름이 있더라(계 21:14)”

즉, 히브리서의 이 구절은 요한계시록 21장에 나오는 새 예루살렘의 12 기초석이 있는 도성(예루살렘 성)을 그가 바랬다는 의미인 것입니다(하나님의 완전한 통치를 나타내는 12에 대한 내용은 여길 누르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는 그가 기초석들이 있는 도시(성)를 바랐기 때문이라 그 설계자와 건축자는 하나님이시라

11 믿음으로 사라 자신도 나이가 많아 단산하였으나 잉태할 수 있는 힘을 얻었으니 이는 약속하신 이를 미쁘신 줄 알았음이라

‘나이가 많아 단산하였으나’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을 한 것이고 헬라어로는 ‘para(파라) kairon(카이론) hēlikias(헤일리키아스)’인데, 직역하면 ‘적정 나이가 지나’입니다. 또한 본절에 사라가 ‘잉태할 수 있는 힘을 얻었다’로 번역했는데, 그렇게 번역하면 마치 하나님을 믿은 사라가 “나도 잉태할 수 있어!”라며 스스로 힘을 얻은 것처럼 읽힙니다. 그렇지만 원어로는 ‘씨를(spermatos:seed) 잉태하는(katabolēn:conception) 능력(힘)을(dynamin:power) 붙잡았다(elaben:took)’입니다. 즉 하나님으로부터 온 잉태하는 능력을 믿음으로 잡았다(가져갔다, 취했다)는 것입니다.

‘미쁘신’으로 번역된 헬라어 ‘pistos(피스토스)’는 ‘신실하다, 신뢰할만하다, 믿을만하다’란 의미입니다. ‘알았음이라’로 번역된 헬라어 ‘hēgēsato(히기사토)’는 ‘이끌다, 생각하다, 고려하다, 여기다’란 의미의 ‘hégeomai(헤이게오마이)’란 어원에서 파생한 단어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으로 사라 자신도 약속하신 이를 신실한 분으로 여겼기 때문에 적정 나이가 지났어도 씨를 잉태하는(수정하는) 능력을 붙잡았고

12 이러므로 죽은 자와 같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하늘의 허다한 별과 또 해변의 무수한 모래와 같이 많은 후손이 생육하였느니라

‘이러므로’로 번역된 헬라어 ‘dio(디오)’는 ‘그렇기에, 그러므로’란 의미입니다. ‘후손이 생육하였느니라’에서 ‘후손’은 이해를 돕기 위해 삽입된 단어이지 원어에는 없습니다. ‘생육’으로 번역된 헬라어는 ‘태어났다(egennēthēsan)’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렇기에 죽은 자와 다름없던 한 사람에게서 하늘의 별처럼 허다하고 바닷가의 모래처럼 무수하게 태어났느니라

13 이 사람들은 다 믿음을 따라 죽었으며 약속을 받지 못하였으되 그것들을 멀리서 보고 환영하며 또 땅에서는 외국인과 나그네임을 증언하였으니

위 번역 그대로도 괜찮습니다. ‘환영하며’로 번역된 헬라어 ‘aspasamenoi(아스파사메노이)’는 ‘환영하다, 맞이하다, 인사하다’란 의미의 ‘aspazomai(아스파조마이)’에서 파생한 단어입니다. 즉, 손님 같은 사람들을 반가이 맞아들이며 인사하는 것 같은 개념입니다. 또한 외국인으로 번역된 헬라어는 ‘xenos(제노스)’로 ‘foriegn(외국, 낯선), foreigner(외국인, 타국인), guest(손님)’이란 의미입니다. 나그네로 번역된 헬라어 ‘parepidémos(파레피데이모스)’는 ‘낯선 곳(타국)에 잠시 머무는 사람’이란 의미이기에 그냥 나그네보다는 ‘거류민’으로 번역하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길 눌러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증언’으로 번역한 헬라어 ‘homologeó(호몰로게오)’는 ‘같은 말을 하다, 동의하다’란 뜻으로 ‘고백하다, 선포하다’란 의미로 쓰이는데 특별히 히브리인들은 ‘찬양하다, 기념하다, 축하하다’란 의미로 썼습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좀 더 맞춰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은 다 믿음을 따라(Kata) 죽었으며 약속들을 받지 못하였으되 그것들을 멀리서 보고 환영하며(맞이하며) 이 땅에서 자신들은 외국인(타국인)과 거류민임을 선포하였으니(고백하였으니)”

14 그들이 이같이 말하는 것은 자기들이 본향 찾는 자임을 나타냄이라

위 구절 그대로도 괜찮습니다. ‘본향’으로 번역된 헬라어 ‘patrida(파트리다)’는 ‘조국, 본국, 고국’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본절을 복수형 처리하고 문법에 좀 더 맞게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들이 이같은 것들을 말하는 것은 본향(본국)을 찾고 있음을 나타냄이라

15 그들이 나온 바 본향을 생각하였더라면 돌아갈 기회가 있었으려니와

본절에 ‘나온 바 본향’으로 번역된 헬라어 ‘aph’(애프) hēs(헤이스) exebēsan(엑세베이산)’은 ‘어디에서 그들이 나왔었는지(from where they came out)’입니다. ‘생각하였더라면’으로 번역한 헬라어 ‘ei(에이) mnémoneuó(므네이모뉴오)’는 ‘기억하고 있었더라면’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또한 진실로(men) 그들이 어디에서 나왔었는지를 기억하고 있었더라면 돌아갈 기회가 그들에게 있었으려니와

16 그들이 이제는 더 나은 본향을 사모하니 곧 하늘에 있는 것이라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들의 하나님이라 일컬음 받으심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시고 그들을 위하여 한 성을 예비하셨느니라

‘더 나은’으로 번역된 헬라어 ‘kreittón(크레이톤)’은 ‘더 낫다, 더 좋다, 더 훌륭하다, 더 강하다’등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본절에 ‘본향’은 15절처럼 삽입된 단어입니다. 원어엔 ‘epouraniou(에푸라니우)’ 즉, ‘하늘의 것(heavely one)’입니다.

또한 ‘하나님이 그들의 하나님이라 일컬음 받으심을 부끄러워하지 않으셨다’라고 되어 있는데, 직역은 ‘dio(그렇기에) ouk(않는) epaischynetai(부끄러워하지) autous(그들을) Theos(하나님), Theos(하나님) epikaleisthai(불리시려고:to be called) autōn(그들의)’입니다. 즉, 한국어 문법에 맞게 정리하면 “그들을 부끄러워하지 않으시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하나님으로 불리시려고”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나(de) 이제는 그들이 더 좋은 하늘의 것을 사모하니 그렇기에 그들을 부끄러워하지 않으시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하나님으로 불리시려고 그들을 위해 한 도성을 준비(예비)하셨느니라.

17 아브라함은 시험을 받을 때에 믿음으로 이삭을 드렸으니 그는 약속들을 받은 자로되 그 외아들을 드렸느니라

특별히 어떤 단어가 잘못 번역된 건 아니지만 어순에 따라 어감이 좀 다릅니다. 또한 ‘약속들을 받은 자로되’에서 ‘자로되’는 말이 되게 하기 위해 삽입된 단어입니다. 따라서 문법에 따른 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시험을 받을 때에 이삭을 드렸고(올려 드렸고) 그 약속들을 받았기에 독생자를 드렸으니(올려 드렸으니)”

18 그에게 이미 말씀하시기를 네 자손이라 칭할 자는 이삭으로 말미암으리라 하셨으니

‘이미 말씀하시기를’로 번역된 헬라어 ‘elalēthē(엘라레이떼이)’는 ‘말하여졌다’는 피동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말씀을 들었다”로 번역하는 게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손’으로 번역된 헬라어는 ‘씨, 자손’을 의미하는 ‘sperma(스퍼마)’입니다. ‘칭할 자’로 번역한 헬라어는 ‘klēthēsetai(클레이떼이세타이)’로 ‘부름받게 될 것(will be called)’이란 미래형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맞는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네 씨는 이삭 안에서 부름을 받게 될 것이란 말씀을 들었던 자라

19 그가 하나님이 능히 이삭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실 줄로 생각한지라 비유컨대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도로 받은 것이니라

본절은 직역하면 문장이 부드럽지 못하고 부연 설명이 필요해집니다. 그렇지만 원래 목적이 ‘직역하겠다’였기에 이해를 돕는 설명은 가로처리하겠습니다.

일단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실 줄로’란 번역은 의역이고 직역은 ‘죽은 자로부터 일으키실 수 있는’입니다. 또한 ‘생각한지라’로 번역한 헬라어는 ‘logisamenos(로지사메노스)’인데 그냥 생각 정도가 아니라 ‘논리적인 근거에 따라 추론하는 것’으로 논리적인 사고로 분석한 후에 이른 생각을 말합니다. ‘비유컨대’로 번역한 헬라어는 ‘parabolē(파라볼레이)’로 ‘비유’라는 명사입니다.

따라서 원어와 문법에 충실한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죽은 자로부터 능히 일으키실 수 있는 하나님이시라는 추론(분석)을 했던 그가(아브라함) 거기에서(hothen) 또한 그를(이삭) 비유로 받았고.

20 믿음으로 이삭은 장차 있을 일에 대하여 야곱과 에서에게 축복하였으며

‘장차 있을 일’로 번역된 헬라어는 ‘일어나려고 하는, 일어날’이란 뜻의 ‘mellontōn(멜론톤)’입니다.

믿음으로 이삭은 일어날 일들에 대해 야곱과 에서를 축복하였으며

Published by tnb4word

"진리의 말씀을 바르게 나누어 네 자신을 하나님께 인정받은 자로, 부끄러울 것이 없는 일꾼으로 나타내도록 연구하라(딤후 2:15)" 성경 관련 질문이나 코멘트는 gloryb2mylord@gmail.com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I am a diligent student of the Word. Please reach out to me with any bible related questions or comments via the email address abov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d bloggers like this: